Ann Optom Contact Lens > Volume 22(2); 2023 > Article
성인에서 각막굴절교정렌즈 처방의 임상적 특성

Abstract

각막굴절교정렌즈는 특수하게 디자인된 경성 산소 투과 렌즈로 각막굴절교정수술과 유사하게 각막의 중심부를 편평하게 만들어 각막의 굴절력을 감소시켜 근시성 굴절이상을 교정한다. 소아에서의 각막굴절교정렌즈 처방에 대해서는 여러 방면으로 많은 연구가 되어 있지만,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적절한 각막굴절교정렌즈의 처방은 젊은 성인에서 근시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고, 연성콘택트렌즈에 비해서 눈 피로 증상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고를 통하여 성인에서 각막굴절교정렌즈 처방 시의 여러 임상적 특성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한다.

Abstract

Orthokeratology lenses are specially designed rigid gas-permeable lenses that are similar to corneal refractive surgery, in that they flatten the central cornea, reducing corneal curvature and correcting myopic refractive errors. While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on the prescription of orthokeratology lenses for children, there have been relatively few studies regarding prescribing orthokeratology lenses for adults. Properly prescribed orthokeratology lenses can help to slow down the progression of myopia in young adults and have the advantage of alleviating visual fatigue symptoms compared to soft contact lenses. This paper aims to summarize the variou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escribing orthokeratology lenses in adults.

근시는 특히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서 가장 흔한 시력 저하의 원인으로 점차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1,2]. 2013년에서 2014년까지 시행된 국민영양조사 제6기에 따르면 0.5 디옵터(diopter, D) 이상 근시의 유병률은 전체 인구의 약 70.6%에 달하며, 6 D 이상 되는 근시의 유병률 또한 8%로 나타났다[3]. 또한 근시는 망막박리, 맥락막신생혈관, 녹내장 등 다양한 합병증과 관련될 수 있다[4]. 따라서 근시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 점안제 및 안경, 콘택트렌즈와 같은 여러 광학적인 치료 방법이 시도되고 있는 추세이다[5]. 그중 각막굴절교정렌즈는 특수하게 디자인된 경성 산소 투과 렌즈로 착용안의 중심각막곡률을 편평하게 하고 상대적으로 중간주변부곡률을 가파르게 하여 근시를 교정하는 치료방법이다[6].
특히 각막굴절교정렌즈의 사용은 수술에 의하지 않고 시력 교정이 가능하고, 치료가 마음에 들지 않거나 원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을 때 언제든지 렌즈 사용을 중단하면 원래의 각막 상태로 돌아갈 수 있으며, 소아에서 안축장 길이의 증가 속도를 늦춤으로써 근시 진행 속도를 늦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국내외에서 아동을 대상으로 처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7,8]. 또한 아이들을 대상으로 각막굴절교정렌즈의 효과 및 안정성, 근시 억제 기전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9]. 하지만 성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각막굴절교정렌즈의 사용에 대한 고찰은 아직 국내외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2020년에 미국에서 안과 의사 및 검안사를 대상으로 시행된 연례 설문조사에 따르면 각막굴절교정렌즈를 처방받기 위해 내원하여 검사를 받은 환자 중 38%는 40세 이상의 성인이었고, 30%는 18세에서 39세 사이의 성인이었으며, 나머지 32%만 17세 이하의 청소년 및 소아였다[10]. 각막굴절교정렌즈가 가지는 여러 장점으로 인해 점차 성인에서의 처방 및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바, 본 고에서는 기존 문헌의 정리 및 저자가 경험하였던 몇몇 증례를 통해 성인에서 각막굴절교정렌즈 처방 시의 여러 임상적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소아 처방과의 차이점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에서, 각막굴절교정렌즈를 처방할 때 특별히 소아와 성인에서 차이를 두어야 한다고 명확히 밝혀진 부분은 아직까지 없다. Jayakumar and Swarbrick [11]은 평균 연령이 10세 이하인 소아군과 평균 연령이 20대인 젊은 성인군, 그리고 평균 연령이 40대인 성인군에서 1시간 동안 각막굴절교정렌즈를 착용하고 나서 평균 연령이 40대인 성인군에서 시력 변화 정도, 각막 정점 곡률, 각막 비구면도, 중심각막 두께와 중심 각막상피 두께의 변화 정도가 나머지 군들에 비해서 유의하게 적음을 보고한 바 있다. 또한 최근 중국에서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각막 굴절교정렌즈를 하루 착용한 후 구면렌즈대응치 감소 비율은 36%로, 기존에 소아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 제시되었던 약 50%에 비해서 다소 낮은 양상을 보인 바 있다[3,12,13]. 이는 이력현상(corneal hysteresis), 저항인자(corneal resistance factor)와 같은 각막의 생체역학 인자가 연령에 따라서 변화하는 데 기인할 수 있다[14]. 하지만 해당 연구에서 렌즈를 일주일 및 한달 간 착용한 후 구면렌즈대응치 감소 비율은 각각 88%와 96%로 기존에 소아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성인은 렌즈 착용 후 목표로 하는 구면렌즈대응치에 도달하기까지의 안정화 기간 동안 저하된 시력의 질에 대해서 민감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화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Jessen 계수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0.75 D 가 아니라 1.75 D로 높여보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15]. 하지만 최근에 소아와 성인을 대상으로 시행된 연구들에서는 Jensen 계수를 -0.75 D 와 -1.75 D로 1 D 차이를 두었을 때 성공률, 구면렌즈대응치 감소 정도, 고대비 나안시력, 저대비 나안시력, 고대비 최대교정시력 및 저대비 최대교정시력은 두 군 간에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12,16].

장 점

성인이 된 이후에도 40세 이전까지는 근시가 진행될 수 있는데, 특히 20대에는 약 45%의 근시가 있는 성인들이 수 년에 걸쳐서 안축장의 증가를 동반한 0.5 D 이상의 근시 진행을 경험할 수 있다[17-19]. 다양한 연구에서 각막굴절교정렌즈의 착용이 소아에서 안구길이 증가를 감소시켜서 근시 진행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성인에서도 각막굴절교정렌즈의 착용은 근시 진행을 억제하는 방법의한 가지로 고려될 수 있다[20]. 또한 젊은 성인에서 각막굴절교정렌즈의 착용은 연성 콘택트렌즈 착용자보다 좀 더 정확한 근거리 조절 및 폭주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근거리 작업 시에 눈 피로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21,22]. 또한 평소 연성 콘택트렌즈나 경성 산소 투과 렌즈 착용 중 불편감을 느끼는 성인에서는 각막굴절교정렌즈로의 대체가 주관적인 불편감 감소로 이어지기에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23].

단 점

최근 중국에서 무작위 배정된 성인을 대상으로 시행된 전향적인 연구에 따르면 54명이 연구에 성공적으로 등록하였으나 그중 81%인 44명만이 연구를 성공적으로 끝마칠 수 있으며, 탈락의 주된 원인은 주관적인 시력의 질 저하였다[24]. 이는 소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보이는 양상과는 다소 다른데, 소아들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에서는 주로 렌즈 착용 시의 불편감, 나안 시력 불량, 각막 미란과 각막염 또는 각막 혼탁이 중도 탈락의 주된 이유였다[7,25,26]. 성인의 경우, 특히 업무량이나 야간 운전이 많은 경우 약간의 중심이탈이나 교정 이상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우가 많다[27]. 주관적인 시력의 질 저하에 대한 민감성은 각막염이나 중심 이탈 등 일반적인 각막굴절교정렌즈와 관련된 합병증 외에도 성인에서 성공적인 처방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특히 성인에서는 소아보다 야간에 활동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눈부심(glare)과 달무리(halo) 현상에 대해서 소아보다 민감할 수밖에 없는데, 이전에 연구된 바에 따르면 라식 수술을 받은 뒤 34%의 환자들은 수술 전에 비해서 야간 시력이 악화되었다고 느꼈다고 한다[28]. 이는 각막의 전체가 아닌 중심부만 절삭되었기 때문에, 특히 야간에 동공이 커져 있을 때 절삭되지 않은 각막 주변부를 통해서 온 빛이 시기능에 변화를 주어서 생길 수 있고, 또한 수술로 인해 증가된 고위수차가 시력의 질에 영향을 주어서 발생할 수 있다[29]. 각막굴절교정렌즈의 착용 또한 굴절교정수술과 유사하게 중심각막곡률을 편평하게 하고 상대적으로 중간주변부곡률을 가파르게 하여 근시를 교정하기 때문에 고위수차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야간에 눈부심과 달무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26]. 증례로 직업상 야간 운전을 많이 하는 26세 남자 환자가 각막굴절교정렌즈 착용을 원하여 내원하였다. 2회의 시험 착용 후 각막지형도 검사상 광학부는 다소 좁은 양상이었으나 시력은 양안 각각 1.0으로 측정되어서 렌즈를 처방하였다. 하지만 경과관찰 기간 동안 교정시력은 잘 유지되었음에도 지속되는 야간 운전시의 불편감을 호소하여 결국 환자는 렌즈의 사용을 포기하였다(Fig. 1).
성인의 경우 소아보다 수면시간이 짧은데, 각막굴절교정렌즈가 안정적으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7시간에서 8시간 정도의 수면이 필요하지만, 한국 성인의 40% 이상은 7시간 미만의 수면 시간을 보이고 있다[30,31]. 낮은 수면시간은 각막굴절교정렌즈의 교정력 저하로 이어져서 주간 시력 및 시력의 질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24]. 증례로 28세 남자가 각막굴절교정렌즈 착용을 원하여 내원하였으며, 1회 시험 착용 후 시력은 양안 각각 1.0으로 측정되어서 렌즈를 처방하였다. 이후 1년 동안 시력저하 및 합병증 없이 잘 유지되었으나, 시험을 준비하게 되면서 수면시간이 하루 6시간 이하로 줄어들었다. 특히 오후에 강의를 들을 때 칠판이 잘 보이지 않는 불편감을 호소하여, Jessen 계수를 올려서 재처방해보기도 하였으나 결국 시력의 주간 변동이 심하여 렌즈의 착용을 포기하였다(Fig. 2) [32].

결 론

최근 국내외적으로 성인에서 각막굴절교정렌즈의 처방 및 착용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성인에서 각막굴절교정렌즈의 착용은 비수술적이고 가역적인 방법으로 근시를 교정할 수 있으며, 특히 젊은 성인에서는 근시 진행의 억제 효과도 같이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근거리 작업시의 눈피로를 줄이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주관적인 시력의 질 저하, 특히 눈부심과 달무리 현상 등을 불편해할 수 있고, 수면시간이 짧은 경우 각막굴절교정렌즈가 충분한 효과를 나타낼 수 없기 때문에, 직업이나 생활 습관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대상자를 선택한다면 처방 성공률과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 has no conflicts to disclose.

Figure 1.
Corneal topographies show relatively small treatment zone (diameters about 3.8 mm) in the right (A) and left (B) eye.
aocl-2023-22-2-43f1.jpg
Figure 2.
Corneal topographies show dimmed reverse zone and increased apical corneal power in the afternoon (A, B) compared to those acquired in the morning (C, D). Apical corneal power changed from 40.58 D to 41.29 D in the right eye and from 40.21 D to 41.8D in the left eye. D = diopter.
aocl-2023-22-2-43f2.jpg

REFERENCES

1) Dolgin E. The myopia boom. Nature 2015;519:276-8.
crossref pmid pdf
2) Wong TY, Loon SC, Saw SM. The epidemiology of age related eye diseases in Asia. Br J Ophthalmol 2006;90:506-11.
crossref pmid pmc
3) Han SB, Jang J, Yang HK, Hwang JM, Park SK.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myopia in adult Korean popula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KNHANES VI). PLoS One 2019;14:e0211204.
crossref pmid pmc
4) Saw SM, Gazzard G, Shih-Yen EC, Chua WH. Myopia and associated pathological complications. Ophthalmic Physiol Opt 2005;25:381-91.
crossref pmid
5) Walline JJ, Lindsley K, Vedula SS, Cotter SA, Mutti DO, Twelker JD. Interventions to slow progression of myopia in childre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1;12:CD004916.
crossref pmid pmc
6) Lanca C, Repka MX, Grzybowski A. Topical review: studies on management of myopia progression from 2019 to 2021. Optom Vis Sci 2023;100:23-30.
crossref pmid
7) Cho P, Cheung SW, Edwards M. The longitudinal orthokeratology research in children (LORIC) in Hong Kong: a pilot study on refractive changes and myopic control. Curr Eye Res 2005;30:71-80.
crossref pmid
8) Lee WH, Park YK, Seo JM, Shin JH. The inhibitory effect of myopic and astigmatic progression by orthokeratology lens.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1269-74.
crossref
9) Jung HG, Lee KY, Bae GH. Comparison of myopic progression before and after orthokeratology lens treatment. J Korean Ophthalmol Soc 2019;60:620-6.
crossref pdf
10) Lipson MJ, Curcio LR. Fitting of orthokeratology in the United States: a survey of the current state of orthokeratology. Optom Vis Sci 2022;99:568-79.
crossref pmid
11) Jayakumar J, Swarbrick HA. The effect of age on short-term orthokeratology. Optom Vis Sci 2005;82:505-11.
crossref pmid
12) Ren Q, Yang B, Liu L, Cho P. Orthokeratology in adults and factors affecting success: study design and preliminary results. Cont Lens Anterior Eye 2020;43:595-601.
crossref pmid
13) Yang S, Na KS, Kim HS. Efficacy and stability of orthokeratology lenses for myopia control. Ann Optom Contact Lens 2015;14:65-9.
14) El Massry AAK, Said AA, Osman IM, et al. Corneal biomechanics in different age groups. Int Ophthalmol 2020;40:967-74.
crossref pmid pdf
15) Woods RL, Colvin CR, Vera-Diaz FA, Peli E. A relationship between tolerance of blur and personality.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0;51:6077-82.
crossref pmid pmc
16) Wan K, Lau JK, Cheung SW, Cho P. Refractive and corneal responses of young myopic children to short-term orthokeratology treatment with different compression factors. Cont Lens Anterior Eye 2020;43:65-72.
crossref pmid
17) Pärssinen O, Kauppinen M, Viljanen A. The progression of myopia from its onset at age 8-12 to adulthood and the influence of heredity and external factors on myopic progression. A 23-year follow-up study. Acta Ophthalmol 2014;92:730-9.
crossref pmid
18) Bullimore MA, Reuter KS, Jones LA, Mitchell GL, Zoz J, Rah MJ. The Study of Progression of Adult Nearsightedness (SPAN): design and baseline characteristics. Optom Vis Sci 2006;83:594-604.
crossref pmid pmc
19) Lee SS, Lingham G, Sanfilippo PG, et al. Incidence and progression of myopia in early adulthood. JAMA Ophthalmol 2022;140:162-9.
crossref pmid pmc
20) Li SM, Kang MT, Wu SS, et al. Efficacy, safety and acceptability of orthokeratology on slowing axial elongation in myopic children by meta-analysis. Curr Eye Res 2016;41:600-8.
crossref pmid
21) Gifford K, Gifford P, Hendicott PL, Schmid KL. Near binocular visual function in young adult orthokeratology versus soft contact lens wearers. Cont Lens Anterior Eye 2017;40:184-9.
crossref pmid
22) Pereira-da-Mota AF, Costa J, Amorim-de-Sousa A, González-Méijome JM, Queirós A. The impact of overnight orthokeratology on accommodative response in myopic subjects. J Clin Med 2020;9:3687.
crossref pmid pmc
23) Kang MK, Na KS, Kim HS. Effects on ocular surface and compliance of orthokeratology wear in adults with contact lens discomfort.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549-54.
crossref pdf
24) Ren Q, Yang B, Liu L, Cho P. Orthokeratology in adults and effect on quality of life. Cont Lens Anterior Eye 2023;46:101824.
crossref pmid
25) Charm J, Cho P. High myopia-partial reduction ortho-k: a 2-year randomized study. Optom Vis Sci 2013;90:530-9.
pmid
26) Kakita T, Hiraoka T, Oshika T. Influence of overnight orthokeratology on axial elongation in childhood myopia.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1;52:2170-4.
crossref pmid
27) Chung JK. Patient evaluation for orthothokeratology lens. Ann Optom Contact Lens 2021;20:1-4.
28) Pop M, Payette Y. Risk factors for night vision complaints after LASIK for myopia. Ophthalmology 2004;111:3-10.
crossref pmid
29) Kojima T, Hasegawa A, Hara S, et al. Quantitative evaluation of night vision and correlation of refractive and topographical parameters with glare after orthokeratology.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1;249:1519-26.
crossref pmid pdf
30) Ma L, Xu M, Wang J, Niu X. Analysis of the reasons for the discontinuation of orthokeratology lens use: a 4-year retrospective study. Eye Contact Lens 2022;48:335-9.
crossref pmid pmc
31) Park JH, Yoo E, Kim Y, Lee JM. What happened pre- and during COVID-19 in South Korea? Comparing physical activity, sleep time, and body weight statu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21;18:5863.
crossref pmid pmc
32) Chan B, Cho P, Mountford J. Relationship between corneal topographical changes and subjective myopic reduction in overnight orthokeratology: a retrospective study. Clin Exp Optom 2010;93:237-42.
crossref pmid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73 Inchon-ro, Seongbuk-gu, Seoul 02841, Korea
Tel: +82-2-2271-6603    Fax: +82-2-2277-5194    E-mail: journal@annocl.org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Optometry Society and The Korean Contact Lens Study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