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n Optom Contact Lens > Volume 21(1); 2022 > Article
자가 지방이식 5년 후 젊은 여성에서 발생한 편측성 안와지방종 1예

Abstract

목적

젊은 여자 환자에서 자가 지방이식 후 발생한 편측성 안와지방종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22세 여자 환자가 6개월 전부터 지속된 좌안 위눈꺼풀의 부종과 눈꺼풀처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5년 전 양안의 쌍꺼풀 수술과 지방이식술을 시행하였으며, 6개월 전부터 좌안 위눈꺼풀의 부종이 발생한 후 눈꺼풀처짐이 지속되었다. 내원 당시 눈꺼풀각막반사간거리 1 (marginal reflex distance 1)은 우안 3.5 mm, 좌안 1.5 mm였으며, 눈꺼풀올림근 기능은 우안 11 mm, 좌안 9 mm였다. 이학적 검사에서 부종과 함께 위눈꺼풀 전체에 만져지는 부드러운 종물이 있었다. 조영제를 사용하여 안와 컴퓨터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고 우안 안와 사이막과 비교하여 좌안 위눈꺼풀의 안와 사이막 뒤쪽으로 공기와 비슷한 음영의 병변이 안와 사이막을 앞쪽으로 밀고 있었다. 양성 지방종을 의심하여 확진 및 치료를 위한 절제생검을 시행하였다. 병리조직검사 결과 지방종으로 확진되었고 3개월째 재발 없이 경과 관찰 중이다.

결론

지방종은 자가지방 이식 후에 발생할 수 있으며, 술 전 환자에게 미리 고지하고, 발생 시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Abstract

Purpose

To report a case of unilateral orbital lipoma in a 22-year-old woman after an autologous fat graft.

Case summary

A 22-year-old woman visited our clinic with the chief complaint of persistent ptosis of the left upper eyelid for 6 months. Five years prior, she had undergone double eyelid surgery on both eyes, in which autologous fat grafting was performed. She had experienced swelling of the left upper eyelid that began 6 months prior to her visit. Examinations of her visual acuity, intraocular pressure, pupil reflex, extraocular movement, and fundus revealed no abnormal findings. Sagittal images from orbital contrast computed tomography scans revealed a translucent lesion in the posterior space of the orbital septum of the left upper eyelid. Histological examination of excisional biopsy specimens showed mature adipose cells surrounded by a fibrous capsule. The patient remained disease-free at the 3-month follow-up.

Conclusions

Lipoma can occur both during and after autologous fat grafting. It is important that the patient is well-informed of this issue before surgery and that the appropriate treatment is provided when it occurs.

위눈꺼풀함몰은 선천적 혹은 후천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선천적으로 꺼진 눈을 가진 사람은 상안검함몰의 소견을 보일 수 있다[1]. 후천적으로 위눈꺼풀 주변의 지방 위축은 눈이 움푹 들어가 보이게 한다[2]. 미용적 목적으로 움푹 꺼진 눈매를 재건하는 방법으로 자가 지방이식 혹은 필러주입술이 사용될 수 있다[3]. 현재 시판 중인 다양한 필러와 비교하여, 자가 지방이식은 충분한 양의 지방을 얻을 수 있고 비용이 저렴한 점[4], 낮은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다는 장점이 있다[5]. 자가 지방이식의 합병증으로 가능성은 낮지만, 자가 지방이식 후 갑작스러운 시력저하, 편마비, 뇌경색, 혈종, 지방육종, 패혈증, 연조직의 염증 등이 보고되었다[6-8]. 저자들은 자가 지방이식 후 염증 없이 발생한 단순 지방종을 수술적으로 완전히 제거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증 례

22세 여자 환자가 6개월 전부터 지속된 좌안 위눈꺼풀부종을 주소로 내원하였다(Fig. 1A). 5년 전 양안의 절개법을 통한 쌍꺼풀수술을 받으면서 자가 지방이식술을 시행하였으며, 6개월 전부터 좌안 위눈꺼풀의 부종이 발생하였고, 이후 호전되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그 외 눈의 외상이나 특이 병력은 없었다. 시력은 양안 모두 20/20, 안압은 19/21 mmHg로 측정되었다. 대광반사나 안구운동제한, 안저검사에서 이상은 없었다. 내원 당시 눈꺼풀각막반사간거리 1 (marginal reflex distance 1)은 우안 3.5 mm, 좌안 1.5 mm였으며, 눈꺼풀올림근 기능은 우안 11 mm, 좌안 9 mm였다. 이학적 검사에서 좌안 위눈꺼풀의 발적이나 압통은 없었으나, 부종과 함께 위눈꺼풀 전체에 만져지는 부드러운 종물이 있었다. 조영제를 사용하여 안와 컴퓨터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고, 좌안 위눈꺼풀 안와 사이막 뒤쪽으로 공기와 비슷한 음영을 보이는 병변이 막을 앞 쪽으로 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Fig. 1B, C). 양성 지방종을 의심하여 확진 및 치료를 위한 절제생검을 시행하였다. 기존 쌍꺼풀 절개선을 따라 접근하여 눈둘레근, 안와 사이막을 절개하고 안와 사이막과 눈꺼풀올림근널힘줄 사이 공간에 위치한 노란 지방조직을 확인하였다(Fig. 2A). 면봉과 가위를 사용하여 조직과의 유착 부위를 박리하고 51 × 16 mm 크기의 지방종을 절제하였다(Fig. 2B, C). 위눈꺼풀 속눈썹과 눈썹 아래선을 기준으로 우안과 동일한 길이를 캘리퍼로 표시하고 늘어진 여분의 피부도 함께 절제하였다. 병리조직검사 결과 지방물질들을 포함한 공포들이 관찰되었으며, 지방종으로 확진되었다. 육아종성 염증 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Fig. 2D). 수술 이후 3개월간의 경과 관찰 기간 동안 눈꺼풀부종 및 처짐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Fig. 1D).

고 찰

저자들은 위눈꺼풀에 자가 지방이식 후 발생한 지방종으로 인해 눈꺼풀처짐이 발생한 증례를 보고하였다. Thyparampil et al [9]이 처음으로 단순 지방종으로 인한 눈꺼풀처짐을 보고하였고, Oliphant et al [10]도 위눈꺼풀의 단순 지방종을 보고하였다. 지방종은 보통 부드럽고, 경계가 명확하며, 피하에 위치하는 종괴의 특징을 가진다. 이전 증례에서도 약간의 이동성을 보이는 덩어리의 형태를 보고하였고, 이는 본 증례에서도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9,11].
지방종은 천천히 성장하는 양성종양으로, 조직학적으로는 섬유성 격막에 의해 분리된 지방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다. 눈꺼풀 지방종의 경우 여러 종류의 이형이 존재하며, 근육 내 지방종[12], 방추형 세포 지방종, 뼈지방종, 피부지방종이 있다[9]. 본 증례의 조직병리검사에서도 지방물질들을 포함한 공포들이 확인되었으며, 조직학적 소견으로 다른 지방종의 이형의 특징적인 세포가 보이지 않아 단순 지방종으로 진단하였다.
자가 지방이식 후 눈꺼풀처짐은 지방주입 이후 발생한 이차성 지방육아종 혹은 주입 부위에서 떨어진 곳에서 이동한 지방육아종 모두에서 일어날 수 있다[13]. 여러 원인들을 제시하면서 지방육아종이 보고되었지만, 본 증례의 단순 지방종은 이와는 다른 기전으로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본 종양의 조직검사에서 자가 지방이식 혹은 필러 주입 이후 보고되었던 육아종성 염증 반응이나 이물 반응, 지방 괴사 등이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4,11,14]. 단순 지방종의 원인은 유전에 의한 연관성이 보고되어 있지만 정확한 원인은 분명하지 않다[15]. 외상 혹은 만성적인 압박도 원인이 될 수 있지만 본 증례는 수술 후 5년 뒤 발생한 지방종으로 모두 가능성은 떨어진다. 이식받은 지방의 이상증식으로 인한 가능성도 고려해야 하겠지만, 지방종의 근원이 이식받은 자가 지방세포인지 기존 널힘줄앞안와지방세포인지는 확인이 어렵다. 지방종으로 인한 눈꺼풀처짐이 일어나기 전 두 달 사이에 15 kg 이상의 체중 증가가 있었고, 지방종의 양상이 널힘줄앞안와지방의 형태와는 다른 모습을 보인 것으로 추정할 때 어떤 형태로든 지방의 증식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관련 사례를 수집하면서 추후 증식세포의 기원을 밝힌다면 지방의 채취 위치와 이식 전처리에 대한 방법도 바뀌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자가 지방이식 후 단순 지방종으로 인한 눈꺼풀처짐을 나타낸 환자를 보고하였고, 지방이식 후 염증반응이 아닌 지방세포의 증식으로 인한 단순 지방종도 자가 지방이식의 합병증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제시한 것에 그 의의가 있겠다. 결론으로 지방종은 자가 지방이식 후에 발생할 수 있으며, 술 전 환자에게 미리 고지하고, 발생 시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to disclose.

Figure 1.
A 22-year-old woman presented with 1-year history of ptosis of the left eye after fat-grafting in both upper eyelids. Preoperative external photograph (A), sagittal section images of orbital contrast computed tomography (B, C) and postoperative external photograph (D). (B) Sagittal section of the right orbit, the arrow points to the normal orbital septum. (C) Sagittal section of the left orbit, the arrow points to the anteriorly displaced orbital septum.
aocl-2022-21-1-30f1.jpg
Figure 2.
Intraoperative images (A, B). Gross photograph of preaponeurotic simple lipoma (51 × 16 mm) (C) and high-power image (HE stain, ×20 magnification) (D) of mature adipose tissue.
aocl-2022-21-1-30f2.jpg

REFERENCES

1) Maniglia JJ, Maniglia RF, Jorge dos Santos MC, et al. Surgical treatment of the sunken upper eyelid. Arch Facial Plast Surg 2006;8:269-72.
crossref pmid
2) Massry GG, Azizzadeh B. Periorbital fat grafting. Facial Plast Surg 2013;29:46-57.
crossref pmid
3) Sa HS, Woo KI, Suh YL, Kim YD. Periorbital lipogranuloma: a previously unknown complication of autologous fat injections for facial augmentation. Br J Ophthalmol 2011;95:1259-63.
crossref pmid
4) Huh J, Yang S, Park J, et al. Granulomatous inflammation of the upper eyelid after autologous fat injection. J Craniofac Surg 2019;30:808-10.
crossref pmid
5) Lee S, Lee JH, Choi H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a periorbital mass after autologous fat injection for facial augmentation and short-term outcomes of steroid treatment. J Plast Reconstr Aesthet Surg 2015;68:1498-503.
crossref pmid
6) Ciuci PM, Obagi S. Rejuvenation of the periorbital complex with autologous fat transfer: current therapy. J Oral Maxillofac Surg 2008;66:1686-93.
crossref pmid
7) Glasgold RA, Glasgold MJ, Lam SM. Complications following fat transfer. Oral Maxillofac Surg Clin North Am 2009 21:53-8. vi.
crossref pmid
8) Yoon SS, Chang DI, Chung KC. Acute fatal stroke immediately following autologous fat injection into the face. Neurology 2003;61:1151-2.
crossref pmid
9) Thyparampil P, Diwan AH, Diaz-Marchan P, et al. Eyelid lipomas: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Orbit 2012;31:319-20.
crossref pmid
10) Oliphant H, Rajak S, Selva D. Simple lipoma of the eyelid: a rare entity. Clin Exp Ophthalmol 2017;45:412-3.
crossref pmid
11) Wolfram D, Tzankov A, Piza-Katzer H. Surgery for foreign body reactions due to injectable fillers. Dermatology 2006;213:300-4.
crossref pmid
12) Buller A, O'Donnell A, Bonshek RE, Leatherbarrow B. Intramuscular lipoma of the eyelid: a case report. Eye (Lond) 2004;18:743-5.
crossref pmid
13) Paik JS, Cho WK, Park GS, Yang SW. Eyelid-associated complications after autogenous fat injection for cosmetic forehead augmentation. BMC Ophthalmol 2013;13:32.
crossref pmid pmc
14) Lemperle G, Morhenn V, Charrier U. Human histology and persistence of various injectable filler substances for soft tissue augmentation. Aesthetic Plast Surg 2003 27:354-66. discussion367.
crossref pmid
15) Chacon-Camacho OF, Lopez-Martinez MS, Vázquez J, et al. Nasopalpebral lipoma-coloboma syndrome: clinical, radiological, and histopathological description of a novel sporadic case. Am J Med Genet A 2013;161A:1470-4.
crossref pmid
TOOLS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0 Scopus
  • 1,753 View
  • 72 Download
Related article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73 Inchon-ro, Seongbuk-gu, Seoul 02841, Korea
Tel: +82-2-2271-6603    Fax: +82-2-2277-5194    E-mail: journal@annocl.org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Optometry Society and The Korean Contact Lens Study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